민생회복지원금

서울시민이 알아두면 좋은 ‘민생회복지원금(소비쿠폰)’ 서울 편 가이드

‘민생회복지원금(소비쿠폰)’ 서울 편 가이드

서울사랑상품권·서울Pay+ 인프라를 활용해
접수 · 지급 절차를 단순화
일부 자치구 추가 페이백(2 ~ 7 %) 이벤트를 예고

민생회복지원금이란?

복지로·카드사 앱·지자체 사이트에서 7 월 15 일부터 ‘자격 조회 → 수령 방식 선택’만 하면, 7 월 22 일부터 최대 50 만원이 현금·캐시백·지역상품권 중 원하는 형태로 지급됩니다!

✔︎ 지급 대상 : 전 국민 (소득 상위 10 %는 15 만원·일반 25 만원·차상위 40 만원·기초수급 50 만원)
✔︎ 지급 방식 : ① 현금 계좌이체 ② 카드 캐시백(6대 카드사) ③ 지역사랑상품권 3택1
✔︎ 사용 기한 : 2026 년 1 월 31 일 자정까지 (미사용분 소멸)

TIP : 1차는 내 통장·카드 포인트로 자동 들어오니 “언제 들어오지?” 걱정 No! 2차만 온라인 신청을 챙기면 됩니다.

📅

🌏 서울Pay+ 앱 신청 절차

✔️ 모바일·가장 빠름

①서울Pay+ 실행 → 메인 배너 〈민생회복지원금 조회〉

② 공동·간편 인증 → 지급액·가구 정보 확인

③ ‘수령 방식’ → 「서울사랑상품권」 선택 → 즉시 ①기본액 충전

④ 8월 추가 지급 대상이면 동일 계정으로 자동 추가 충전

⑤ 사용 : 결제 화면 QR → 가맹점 스캔 → 잔액 자동 차감

1. 서울에서 받게 될 금액 및 일정

• 소득 구간 상위 10% : 15 만원
• 소득 구간 일반(중위50%) : 25 만원
• 소득 구간 차상위·한부모 : 40 만원
• 소득 구간 기초생활수급 : 50 만원

2. 3가지 수령 방식과 서울시 특이점

① 현금 계좌이체 : 세대주 계좌 일괄 지급 (신청 無)
② 카드 캐시백 : 6대 카드사 앱 → 24 h 이내 충전
③ 지역사랑상품권 : 주소지 지자체 상품권(모바일·지류)
서울사랑상품권/서울Pay+ 앱으로 즉시 충전
– 기본 5 % 할인(광역) + 자치구별 2 ~ 5 % 페이백 상시 이벤트


TIP : 서울상품권은 28 만여 오프라인 가맹점(식당·카페·편의점·병원 등)에서 사용 가능하며, 대형마트·백화점·온라인몰은 제외됩니다.

3. 서울만의 추가 혜택 체크리스트

• 자치구 페이백 : 중구·강서·동작구 등은 지원금으로 결제 시 2 ~ 7 % 추가 적립 이벤트(세부 일정 추후 고시).
• 서울형 배달앱(땡겨요) 쿠폰 : 서울사랑상품권 잔액으로 결제하면 1,000 ~ 3,000원 배달 쿠폰 중복 적용(서울시·배달앱 공동 프로모션 예정).
• 소상공인 모범 가맹점 스탬프 : 상품권 결제 후 가맹점 QR 스탬프 5개 모으면 5,000원 서울사랑상품권 추가 지급.
• 광역 할인 이벤트 : 10월 광역 서울사랑상품권 3차 발행 시 구매 5 % 할인 + 지원금 잔액 자동 결제 연동.

📋 자주 묻는 질문(FAQ)

Q1. 타 시·도 이전 예정인데, 서울 상품권 괜찮을까?
A. 지급 시점 기준 주소지 상품권만 선택 가능. 이사 후에도 서울 가맹점에서 잔액 소진은 가능(양도·교환 X).

Q2. 서울사랑상품권으로 지하철·버스 요금 결제?
A. 불가. → 티머니·ESIM 교통앱 충전 기능은 연내 도입 검토 중.

Q3. 현금(계좌) 신청 후 서울상품권으로 바꿀 수 있나요?
A. 1차 지급 3영업일 이전 ‘신청 취소’ 가능. 이후엔 변경 불가.

Q4. 잔액 미사용 시?
A. 2026 년 1 월 31 일 24시 자동 소멸 → 국고 환수.